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삶의 뜨락에서] 마주친 눈빛 2

지난해 늦은 여름 39년을 지켜온 제비 가족들이 겨울을 넘길 채비를 하고 있었다. 특히 두 번째 부화한 새 생명의 가족들은 시간에 쫓기고 있었다. 사람이나 동물들이 새끼를 키우는 것이 얼마나 힘이 들까. 떠날 날이 촉박한데 비행 연습에 쫓기고 있었던 네 마리의 아기 제비가 참으로 가엽고 안쓰럽게 보였던 그 모습, 나와의 마주친 눈빛, 기억이 생생한 지난해 모습들을 잊을 수가 없었다.     그때 초가을 그들은 떠나고 겨울을 넘기는 이곳에는 이상 기후로 따뜻한 겨울이 지나고 있었다. 12월에 핀 동백꽃이 빨간 입술의 겨울을 넘다가 이틀 동안  한파가 몰려와 동백꽃을 초토화한 계절을 넘기는 수난이 있었다. 이상 기후의 겨울을 넘기며 차고에 텅 빈 그들의 둥지를 보며 항상 집 떠난 그들을 생각하는 동안 어느새 봄의 기운들이 싹을 틔우고 꽃들은 계절을 속이지 않고 찾아오고 있었다. 만 가지의 봄들이 기지개를 켜는 자연의 질서들을 지키면서 차고 속의 제비 둥지는 고향 떠난 그들을 기다리고 있었다.     39년의 자연의 약속을 지켜온 그들은 과연 40년을 완성할 것인가를 염려하기 시작했다. 매년 4월 20일이 지나면 찾아오는 집 떠난 자식이 돌아오는 기다림과 설렘, 기쁨처럼 올해도 똑같은 마음이었다. 그런데 겨우내 따뜻한 날들이 지나고 봄은 이상하게도 추운 바람을 몰고 왔다. 걱정되었다. 이 차가운 봄날에 그들이 돌아오면 얼마나 춥게 견딜까 걱정되었다. 물론 그들은 우리 인간보다 앞을 내다보는 삶의 지능이 발달 되 있음을 알지만 그래도 돌아올 자식 걱정하듯 염려스러웠다. 그런 속에 봄의 시간이 지나는데 매일매일같이 둥지를 살폈다.   4월 28일이 지났는데 아직 소식이 없다. 아침이면 차고 문을 열면서 하늘을 본다. 오늘도 내일도 소식이 없어 별생각이 다 들었다. 근 1만5000km 긴 여로 상상이 안 되는 거리다. 혹시 지난해 강남 가는 길목에 변이라도 아니면 가족에 이상이라도, 인솔자의 문제라도, 혹시 명물의 지혜? 우리 가족의 노년기를 알고 이사를 한 것인지, 별별 추측을 다 했다.     5월이 시작되었다. 한 번도 4월을 넘긴 적이 없다. 인근 농장에 가 보아도 그곳에도 오지 않았다. 하루 이틀 기다림은 더 커지며 불안까지 엄습하여 다시 농장에 5월 2일 전화를 했다. 그곳에 제비가 1일 날에 왔단다. 그럼 내 식구들은 어떻게 됐다는 것인가, 더욱더 초조해졌다. 별생각이 다 스치고 지나면서 그래도 기다리는 마음은 오늘도 변함이 없이 차고 문을 일찍 열어주고 어디 외출할 때도 활짝 열어놓고 다녔다. 39년을 같이 한 지붕 밑에 살아 본 사람은 우리의 심정을 알 것이다.     기다림과 서운함의 길목에서 그래도 희망은 버리지 않았다. 5월 3일, 4일, 기다림 속에 모처럼 바다에 가면서 집 식구에게 아침에 차고 문 일찍 열고 외출 시에도 열어 놓도록 당부를 하고 집을 나서면서 속마음의 기다림과 만남, 무언의 약속 속에 들려온 카톡 소리 “기다리던 제비가  돌아왔습니다.” 제비가 돌아왔다는 소식에 마음이 편안해지면서 많은 그림을 그렸다. 상상만 해도 꿈같은 비상, 여기서 거기가 얼마인가 수많은 것들을 보고 헤치며 날아온 명물 중의 명물이다.   그 먼 길 얼마나 힘들었을까, 수만 리길 뒤에 두고 날개를 수십만 번 휘저으며 그 작은 눈망울 속에 옛 그림 지붕 아래 둥지를 생각하며 날아온 내 식구, 보고 싶었던 기다림의 전설 같은 실화의 40년 지기 가족의 역사는 이루어졌다. 도착한 일행은 우물쭈물할 여지 없이 처음 지은 둥지에 몸을 담는다. 기특한 명물의 속삭임이 시작되었다. 보이지 않는 둥지 속의 따스함 속에 그들은 자손만대를 위한 보금자리를 폈다. 온종일 어디에선가 먹이 활동과 일가친척들과의 하루를 보내며 가끔 둥지를 살피고 저녁엔 꿈의 보금자리에 깊은 잠을 잔다. 밤에는 차고 문을 내린다. 그들은 알고 있다. 두 노인네의 차고 문지기를, 아침이면 문을 열라고 지지배 요란을 떤다. 차고 문을 열면 꿈의 하루를 시작한다. 날쌘 제비는 곧 알을 가슴에 품고 새 생명의 역사를 시작할 것이다. 오늘 아침 후속대와의 만남, 창공에 수를 놓으며 안도와 기쁨의 마주친 눈빛은 다시 빛나고 있었다. 오광운 / 시인삶의 뜨락에서 눈빛 제비 둥지 제비 가족들 눈빛 기억

2023-05-11

[삶의 뜨락에서] 제비집을 그리다

‘정원의 쓸모’라는 책을 읽고 있다. 잘 가꾼 정원이 얼마나 보기 좋으며 우리의 심신을 위로한다는 정원예찬론 정도로 생각하고 읽기 시작했다. 그런 선입견을 뛰어넘는 내용이 실려있었다. 정원 가꾸기 즉 원예 활동이 사람들 심리 치료에 큰 효과가 있음을 끝없는 사례를 들어가며 설명한다. 더 나아가 자연이라는 놀라운 세계를 꽃과 나무와 텃밭의 식물과 창가의 작은 화분까지 동원하며 안내하고 있다. 사람이 사람다울 수 있음은 자연과 더불어 살 때라고 힘주어 강조한다. 정원이 이렇게 쓸모있는 것이라는 설명을 들으며 자연의 신비한 힘을 새삼 다시 생각하게 된다. 자연 속에 아주 작은 존재 하나로도 설명이 어려운 힘을 얻는다.    자연 속 작은 풍경 처마 밑 제비집은 우리에게 좋은 느낌을 준다. 제비는 사람을 경계하지 않는다. 다른 새들은 경계심으로 나무 꼭대기에 둥지를 만든다. 제비는 오히려 사람 손이 쉽게 닿을 수 있는 장소에도 겁 없이 집을 짓고 새끼를 키운다. 사람들도 다른 새가 집안 어디에 둥지를 틀면 싫어하고 방해한다. 그러나 제비가 날아들면 환영한다. 둥지 받침대도 만들어 주는 것은 흥부 아저씨 이야기로  마음에 담긴 제비가 복을 불러온다고 생각하기 때문인 것 같다. 멀리 떨어져 즐기는 자연이 아니고 가까이에서 함께 지내며 바라보는 자연이 되고 있다. 알게 모르게 이 한 조각 자연의 풍경이 사람에게 좋은 영향을 주고 있다.    사람들이 사는 것이 자꾸 자연스러움에서 멀어지고 있다. 자연과 멀어져 사는 삶이 어느 날 제비집을 보며 가르침을 얻는다. 지푸라기에 잘 다진 고운 흙을 덩어리지게 묻혀 차곡차곡 쌓은 제비 둥지는 그 노고만으로도 사람들에게 사는 것의 정성을 깨우쳐 준다. 한번 정 붙인 집은 잊지 않고 매년 찾아 드는 고향에 대한 약속 같은 정겨움이다. 노란 부리가 귀여운 새끼 제비가 둥지 밖으로 보이기 시작하면 가족이라는 그림이 그려지며 그렇지 않은 빈 둥지를 할 말 없게 한다. 내 삶이 더 중요하다며 비어 있는 가족 관계를 에둘러 나무란다. 쉬지 않고 새끼 제비의 입속에 먹이를 넣어주는 엄마 아빠 제비의 부지런함은 잊었던 부모님의 노고를 떠올리게 한다. 날개에 힘을 얻은 새끼 제비들이 하늘 속으로 날아가는 신통한 성장은 자녀들의 어느 날 모습에 놀라는 어른들의 표정을 읽게 한다. 그래서 처마 밑 작은 보금자리는 해마다 생기 넘치는 이야기를 풀어내어 사람들에게 웃음을 준다.    봄 여름 가을의 계절 속에 제비 가족이 처마 밑에서 지내는 시간은 잘 지어진 제비집처럼 아름답게 보인다. 다시 찾은 낯익은 그 집의 처마에 들어서서 부부 제비는 손발 맞추어 정교한 제비집을 완성한다. 멀지 않아 그 포근한 자리에는 몇 개의 제비 알이 내일을 준비한다. 날개 밑에서 체온을 받아 새끼로 자란 작은 생명이 알껍데기를 열고 세상을 본다. 노란 부리가 예쁘게 드러나며 먹이를 받아먹고 날마다 자라난다. 어느 날 날개가 완성된다. 둥지를 나와 가까운 전깃줄까지 날아가는 연습에 열중한다. 한여름의 열기 속에서 매일매일 날개에 힘을 저축한다. 단풍 드는 계절이 오면 늘어난 제비 가족은 정든 집 주위를 한 바퀴 돌고 남쪽 나라로 향한다. 집주인은 섭섭함을 달래며 내년에 만나자 손을 흔든다.     제비집은 이제 주인이 없다. 그래도 제비집은 내년을 기다리며 새끼 제비들의 짹짹거림과 날씬한 선을 긋던 제비의 날갯짓을 되새기는 소리가 그곳에서 들린다. 다시 만나는 반가움이 살아난다. 흥부 놀부가 울고 웃던 제비집을 그려보며 사람들은 흥부도 되고 놀부도 된다. 제비집이 우리에게 자연으로 흘러가며 살아가는 이야기를 전한다. 안성남 / 수필가삶의 뜨락에서 제비집 새끼 제비들 제비 둥지 제비 가족

2022-08-2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